티스토리 뷰
주택청약 종합 저축 의미있을까?
매월 주택청약 돈 2만원/10만원 넣고있는데 내 청약점수는 얼마지? 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청약을 신청할 때, 조금만 잘못 신청하거나 계산하면 청약에 불이익을 받게됩니다.
불이익을 받으면 다음 청약에 일정기간동안 지원할 수 없습니다.
심지어 청약 신청을 할 때 청약 가점을 잘못 계산하면, 청약에 불이익(패널티)를 받게 됩니다.
따라서 주택청약을 신청하는 분들이 가장 신경을 많이 쓰는 부분은 청약가점입니다.
심지어 유료로 사람에게 청약 가점을 정확하게 계산해준다는 사람들이 생기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무료로, 정확하게 청약 가점을 계산할 수 있는 공신력있는 청약가점 계산기를 가져왔습니다.
원래는 주택청약은 과거에 아파트투유라는 곳에서 신청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청약홈"에서 신청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청약홈"에서 주택청약 캘린더, 청약가점 계산기, 주택청약 신청, 주택청약 당첨 조회를 할 수 있는 웹사이트, 어플입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청약가점 계산기를 웹사이트를 통해서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볼 것입니다.
일단 다음, 구글, 네이버와 같은 검색창에 "청약홈"이라고 검색합니다.
검색하면 밑에 "청약홈"이라고 되어있는 구글 플레이 앱도 보이신가요?
청약홈을 휴대폰에 어플로 다운로드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어플을 다운받으셔도 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청약에 일정한 금액을 넣고, 해지하지않으시고 통장을 가지고있는 것입니다.
청약홈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메인에 위와 같은 페이지가 보입니다.
이곳에서 청약Home을 보시면 "청약연습"이 있습니다.
청약연습에 들어가면 아래의 사진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청약홈"의 가장 큰 장점이 나타납니다. 쉽게 네이버 인증서로 로그인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네이버 계정에 자신의 정보를 등록해놓았다면 별다른 다운로드없이 바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공동인증서가 없다는 점은 정말 편리하게 바뀐 좋은 변화입니다. 그동안 정말 공동인증서(공인인증서)는 불편했습니다.
네이버로 공인인증을 하고 들어가면 위와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우리는 청약가점을 계산기를 사용할 것이므로
"청약가점 계산기"로 들어가면 됩니다.
무료이지만 청약을 직접 운영하는 공신력있는 곳에서 청약가점을 계산하므로 편리하고 유용한 사이트입니다.
청약가점에 영향을 주는 모든 항목들을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먼저 "무주택기간"을 봅시다.
자신의 무주택기간을 선택하면 됩니다.
단, 이곳에서 주의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이 자가로 집이 있고 자신은 그곳의 세대원으로 있었던 기간은 무주택기간으로 인정해주지않습니다. 그 조건을 자세하게 살펴봐야합니다.
위 사진에서 무주택기간 적용기준과 무주택자여부, 무주택기간 산정 기준들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결혼에 대한 계획과 생각이 없다면 3번째 항목을 조금 더 유심히 살펴보셔야합니다.
3번째 무주택기간 적용기준에서 "주택을 소유한 세대와 만 30세 미만 미혼 무주택자는 0점"이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을 헷갈리시면 안됩니다!
두번재 기준은 부양가족과 청약통장 개설 기간입니다.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청약점수는 올라갑니다.
또한 청약통장을 최대한 어렸을 때, 개설하라고하는 이유도 이 곳에서 알 수 있습니다.
청약통장 개설일로부터 일반적으로 10년은 지나야 의미가 있기 때문에, 18살 혹은 20살에 개설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1,2,3번을 모두 넣어주면 자신의 청약 점수가 나옵니다.
오늘은 주택청약 가점 계산기를 무료이지만 공신력있는 곳에서 하는 과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은 주택청약을 잘 활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